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기준, 한부모 가족을 위한 복지급여 확인해보세요

by 호두맘이 2025. 7. 26.
반응형

자녀를 혼자 키우는 가정이라면 정부의 한부모 가족 복지제도를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. 2025년에는 기존 제도들이 확대되거나 새롭게 개선되어 소득 기준 완화, 지원 금액 상향 등의 변화가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한부모 가족이 받을 수 있는 복지급여를 총정리해 드립니다.

📌 지원 대상 기준 (2025년)

  • 한부모 가족: 배우자 없이 18세 미만 자녀를 양육 중인 부모
  • 조손 가족: 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
  • 소득 기준: 기준 중위소득 60%~65% 이하 (급여별 상이)

✅ 한부모 가족 복지급여 요약표

급여명 지원 내용 지급 금액 (2025년 기준) 신청처
한부모가족 양육비 저소득 한부모에게 자녀 양육비 지원 월 230,000원 (만 18세 미만)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
추가 아동 양육비 조손가정·청소년 한부모 가정 추가 지원 월 150,000원 주민센터
학용품비 중·고생 자녀 학습 지원 연 83,000원 (1회) 주민센터
고교생 교육비 수업료, 입학금 면제 전액 면제 학교 및 교육청
전세임대·공공임대 주거 취약 한부모 가구 대상 보증금 지원 + 월 임대료 감면 LH·SH 공사
한부모가족 복지시설 긴급 보호 및 자립 지원 입소 및 생계·자녀 돌봄 제공 지자체 복지과

💡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제도

  • 아이돌봄 서비스: 시간제·종일제 돌봄 신청 가능
  •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: 학업지원비 월 10~20만 원
  • 자립촉진수당: 보호종료 청소년(만 18세 이상) 대상 월 40만 원

📄 신청 방법

대부분의 제도는 거주지 주민센터에서 방문 신청이 가능하며, 일부는 온라인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복지로 앱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 소득 확인서류, 가족관계증명서, 신분증이 필요하므로 미리 준비해 주세요.

📌 중위소득 60% 기준 (2025년)

(예시 기준)

  • 1인 가구: 약 1,330,000원
  • 2인 가구: 약 2,190,000원
  • 3인 가구: 약 2,800,000원

🔔 마무리하며

한부모 가족을 위한 복지제도는 단순한 지원을 넘어 아동의 권리와 가정의 자립을 위한 제도적 장치입니다. 내가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는지 꼭 확인해보고, 주민센터 복지상담도 적극 활용해 보세요.

한부모 가족 복지 제도 안내 이미지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