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나이 50 넘고 나니 조금이라도 젊었을때 노후준비 더 철저히 할걸 하는 아쉬움에 글올려요..
40대가 되면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가 “노후 준비는 지금부터”입니다.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이 바로 연금저축입니다. 하지만 이름만 알고 실제로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분들이 많죠. 오늘은 연금저축의 A to Z,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연금저축이란 무엇인가요?
연금저축은 노후에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장려하는 장기 투자 상품입니다.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55세 이후부터 매달 연금 형식으로 수령하게 됩니다.
2. 연금저축의 종류
- 연금저축보험: 보험사 상품, 원금보장, 수익률은 낮음
- 연금저축신탁: 은행 상품, 거의 사라지는 추세
- 연금저축펀드: 증권사 상품, ETF·펀드로 투자 가능, 수익률 높음
요즘에는 연금저축펀드가 인기입니다. 투자 성향에 따라 자산을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.
3.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
연금저축에 불입한 금액의 13.2%를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. 연간 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총급여 5,500만 원 이하: 최대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
- 총급여 5,500만 원 초과: 최대 300만 원까지 세액공제
만약 IRP와 함께 가입한다면, 총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.
4. 언제부터, 얼마나 납입해야 하나요?
연금저축은 1년 단위로 납입금이 집계되며, 세액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선 매년 꾸준한 불입이 필요합니다. 소득이 있는 한 빨리 시작하는 게 유리하며, 보통 월 25만 원 정도로 시작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
5. 수령은 언제? 세금은?
55세 이후부터 최소 5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으며, 연금소득세 3.3~5.5%가 부과됩니다. 일시 인출 시 16.5% 기타소득세가 부과되므로, 가급적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6. 연금저축펀드 투자, 어떻게 시작하나요?
- 증권사 앱(예: 미래에셋, NH, 키움 등) 가입
- 연금저축계좌 개설
- ETF 또는 펀드 상품 선택
- 매월 자동이체 설정
대표 ETF: S&P500, 코덱스200, 채권형, 글로벌 분산형 등
7. IRP와의 차이점은?
IRP는 회사 퇴직금도 이체 가능하며, 연금저축과 달리 의무적으로 55세 이후 연금 수령만 가능합니다. 세액공제 한도를 연금저축과 합쳐서 700만 원까지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어, 연금저축 + IRP 조합을 권장합니다.
마무리하며
연금저축은 단순히 ‘연금’을 위한 것 이상으로 세금 절감 + 복리 투자 + 노후 대비라는 강력한 3박자를 갖춘 상품입니다. 40대는 연금저축을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. 지금 시작하면 10년 뒤, 큰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. 망설이지 말고, 오늘 바로 실행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