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장철에 꼭 필요한 무를 제대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파종시기와 재배법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 가을무는 기온과 토양 조건에 민감하기 때문에, 적절한 심는법과 수확시기를 지켜야 아삭하고 단단한 무를 얻을 수 있습니다. 오늘은 김장무 파종시기, 김장무 재배법, 가을무 심는법, 무 수확시기를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.
김장무 파종시기
김장무는 일반적으로 8월 중순~9월 중순 사이에 파종하는 것이 적기입니다.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, 중부 지역은 8월 하순~9월 상순, 남부는 9월 초~9월 중순, 산간·북부는 8월 중순~8월 말이 알맞습니다. 파종 시기를 놓치면 무가 얼거나 속이 비어버리기 때문에 반드시 일정에 맞춰 씨앗을 뿌려야 합니다.
- 중부 평야: 8월 25일 ~ 9월 10일
- 남부·해안: 9월 1일 ~ 9월 15일
- 산간·북부: 8월 15일 ~ 8월 31일
김장무 재배법
김장무 재배법은 크게 토양 준비, 파종, 솎기, 비료 관리, 병해충 방제 순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. 무는 배수가 잘 되는 땅에서 잘 자라며, pH 6.5~7.5의 흙이 적합합니다. 파종 깊이는 1~1.5cm 정도로 얕게 뿌리고, 씨앗을 3~4개씩 넣은 후 본엽 3~4매 때 솎아내어 1주만 남기면 좋습니다.
- 토양 관리: 퇴비와 석회를 미리 섞어 두둑을 만들고 배수를 확보합니다.
- 파종: 줄 간격 30~40cm, 포기 간격 20~25cm로 심습니다.
- 솎기: 본엽 3매에 맞춰 1포기만 남겨 굵고 균일하게 키웁니다.
- 비료: 웃거름은 본엽 4~5매 시 소량 주고, 질소 비료는 과하지 않게 합니다.
가을무 심는법
가을무 심는법의 핵심은 기온과 수분 조절입니다. 발아 적온은 15~20℃, 생육 적온은 18~22℃로, 고온에서는 무가 매워지고 속이 비게 됩니다. 따라서 파종 직후에는 부직포를 덮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또한 초기에는 자주 물을 주어 발아를 돕고, 비대기에는 과습을 피하면서 3~4일 간격으로 충분히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.
무 수확시기
무 수확시기는 파종 후 60~70일 정도가 지나고, 경부(뿌리 목 부분)가 굵어지며 광택이 돌 때가 알맞습니다. 일반적으로 중부 지역은 10월 하순~11월 중순, 남부 지역은 11월 초~11월 하순, 산간 지역은 10월 중순~10월 말이 적기입니다.
수확한 무는 잎을 1~2cm만 남기고 자른 뒤, 0~2℃ 저온에서 보관하면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.
김장 준비를 위한 팁
- 무는 서리 오기 전에 수확해야 저장성이 좋습니다.
- 저장할 때는 신문지·모래와 함께 세워서 보관하면 숨 쉬기가 쉬워 물러짐을 막습니다.
- 병해충 예방을 위해 파종 직후 부직포 덮개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정리
지금까지 김장무 파종시기, 김장무 재배법, 가을무 심는법, 무 수확시기에 대해 살펴봤습니다. 지역별로 시기를 지켜 파종하고, 토양과 물 관리에 신경 쓰면 김장철에 꼭 필요한 아삭한 무를 얻을 수 있습니다. 올해는 직접 텃밭에서 키운 신선한 무로 김장을 준비해보세요.